오랜만에 받은 건강검진
결과지를 받았는데, 어떤 항목을 유의깊게 봐야 할지 매번 헷갈리네 ..
건강검진 결과지 어떻게 해석 해야 할지 간단히 알아보자!
건강검진 시리즈
☞ 건강검진 결과 해석 (1탄) – 기본검사
☞ 건강검진 결과 해석 (2탄) – 혈액, 혈관 검사
▶ 건강검진 결과 해석 (3탄) – 암검사
암 조기 발견을 위한 건강 검진과 해결책
건강검진 암 관련 검사

우리나라에서 발병률 (2021년 기준)
1위는 갑상선암 2위는 대장암, 3위는 폐암, 5위는 위암이다.
→ 남성 발병률 : 1위 폐암, 2위 위암, 3위 대장암, 4위 전립선암
→ 여성 발병률 : 1위 유방암, 2위 갑상선암, 3위 대장암, 4위 폐암
우리나라 주요 10대 암의 생존율이 과거와 달리 70% 이상 높아는데,
건강검진으로 암을 조기에 발견하는 경우가 많아 졌기 때문이다.
어떤 암 검사를 진행하면 좋을지 알아보자.

갑상선암 ( 갑상선 초음파 )
ex) 건강검진에서 갑상선 초음파로 0.8cm 크기의 결절 발견
내과에 방문해 진료를 받으라고 되어있었다.
- 새로운 결절이 생겼기 때문에 병원을 방문하는 것이 좋다.
- 조직 검사 기준에 해당 안되는 작은 결절이라 추적 관찰이 필요
- 정기적인 병원 방문이 중요
- 추가 조치 :
추적 과정에서 크기 변화를 관찰하고,
2cm 이상 커졌다면, 필요 시 조직검사 진행
위암 ( 위내시경 )
ex) 위내시경 검사 결과 장상피화생, 위축성 위염 발견
인터넷에 찾아보니 암으로 진행 될 수 있다고 하는데…
※ 장상피화생
위 점막이 오랜 염증 반응으로 인해 노화되었다는 의미
※ 위축성 위염
점막이 손상되고 얇아지는 상태
- 장상피화생, 위축성 위염은 암으로 가기 쉬운 단계
- 자극적인 음식 섭취 줄이기
- 위궤양 증상 악화 시, 헬리코박터 검사 및 치료 고려
(위암의 가장 큰 원인, 보균시 항생제 치료 필요) - 추가 조치 :
초음파 검사를 통한 정확한 검사 필요
유방암 ( 유방 촬영술 )
ex) 가슴, 겨드랑이 사이에 멍울이 만져져서 건강검진을 받았는데,
유방 촬영술 진행 결과지에 치밀 유방 이라고 되어있음
※ 치밀 유방
지방층보다 섬유조직이 많다는 것
손으로 만졌을 때 고정되고 딱딱한 느낌을 주는 상태
- 치밀 유방인 경우 유방 촬영술로 암을 찾기 어려움
(아시아 여성의 경우 치밀 유방인 경우가 많음) - 초음파 검사로 유방 조직 확인 필요
- 추가 조치 :
정확한 암 조기 발견을 위해 유방 촬영술과 조합하여 검사 진행
대장암 ( 대장내시경 )
ex) 대장내시경으로 용종 제거 했는데, 3년 뒤 재검 시 CEA 수치 상승
※ CEA (Carcinoembryonic Antigen)
암세포에서 분비되는 단백질
- 대장내시경 시 용종만 잘 제거해도 대장암을 90% 예방 가능
(의학 저널 NEJM 1993년도 연구 결과) - 용종은 보통 5~10년 뒤에 암으로 진행
용종은 암의 씨를 제거 하는것 = 대장암 예방 - 가족력이 있다면 2~3년에 한번 정기적인 대장내시경 검진 추천
- CEA 수치는 흡연, 염증에도 상승되므로,
수치만으로 암진단은 어렵기 때문에 CT등의 결과를 종합해 암을 진단한다. - 추가 조치 :
정기 검진으로 암 조기 발견 및 예방에 주의
췌장암 ( 당 수치 )
ex) 당뇨병 치료 중인 환자가 약으로 당 수치 조절을 잘 해왔는데,
최근 들어 당 수치 조절 어려워 졌다.
- 췌장암 초진 환자 증상 : 무기력, 체중 , 식욕 감소
(흔한 증상으로 조기 발견 어려움) - 인슐린 호르몬 (당 조절) 이 췌장에서 나오기 때문에 당 수치 이상이 있으면 췌장을 의심해 볼 수 있음
- 췌장 초음파 및 CT 검사로 췌장 종양 확인
- 추가 조치 :
증상 관찰 및 정기적인 췌장암 검진 권장
# 건강검진결과 # 대장내시경결과 # 암 관련 건강검진 항목 # 선택건강검진