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kip to content

▶ PLAY LIST

모든 정보 기록 List

Menu
  • PLAY LIST
    • Privacy Policy
  • 글목록
    • FINANCE 목록
    • 생활상식 목록
    • 생활정보 목록
    • 취미 목록
    • NEWS 목록
  • Finance
  • 생활상식
  • 생활정보
  • NEWS
  • 취미
Menu

재산소득 근로소득

Posted on 2025-04-132025-04-13 by play_s

재산소득이 근로소득 보다 많다고 하는데,
재산소득과 근로소득의 차이가 뭐지?

 

page contents

Toggle
  • 1. 재산소득 , 근로소득 정의
  • 2. 발생 원천
  • 3. 대표적인 예시
    • 재산소득
    • 근로소득
  • 4. 과세 방식의 차이
      • ✔ 재산소득
  • 5. 경제적 의미와 특성
      • ✔ 재산소득
      • ✔ 근로소득

상위 1% 가구는 연평균 2억 4395만원의 소득을 올리고 있는데, 이는 평균 소득(7185만원)의 3.5배 정도 되는 수준이다.
근로소득이 44.7%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  있는것은 전체가구와  동일하지만, 상위 1%의 가구는  전체가구의 재산소득 비중보다 훨씬 높게 재산소득을 가져가고 있다.
결국 자산관리를 통해 재산소득을 얼마나 많이  가져갈 수 있느냐가 부자가 되기 위한 중요한 조건이라고 볼 수 있다.

※자료 : 2024가계금융복지조사(통계청) 가구 소득구성 비교

 

1. 재산소득 , 근로소득 정의

✔ 재산소득 : 개인이나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재산(부동산, 금융자산 등)을 통해 발생하는 소득을 의미합니다. 주로 자본의 투자나 소유 자체에서 발생합니다.

✔ 근로소득 : 개인이 고용된 상태에서 직접 노동력을 제공하고 그 대가로 받는 급여나 임금, 보너스, 수당 등을 의미합니다.

 

2. 발생 원천

✔ 재산소득 : 자본이나 자산(부동산, 예금, 주식 등)의 투자 및 보유

✔ 근로소득 : 개인의 노동력 제공 및 업무 수행

 

3. 대표적인 예시

재산소득

    • 이자소득(은행 예금 이자)

    • 배당소득(주식 배당금)

    • 임대소득(부동산 임대료)

    • 양도소득(부동산, 주식 매매 차익)

 

근로소득

    • 급여, 연봉

    • 상여금, 보너스

    • 시간외 근무 수당

    • 기타 근로 관련 수당 및 인센티브

 

4. 과세 방식의 차이

✔ 재산소득

  • 일반적으로 금융소득(이자·배당)은 원천징수 후 종합소득으로 합산 과세될 수 있음
  • 부동산 소득이나 양도소득은 별도로 구분하여 신고 및 과세

 

✔ 근로소득

  • 원천징수 방식으로 매월 급여에서 일정 금액 공제 후 연말정산을 통해 최종 세액 확정

 

5. 경제적 의미와 특성

✔ 재산소득

  • 자산의 가치 증가나 투자로 인한 소득이기 때문에 자산규모가 클수록 비례적으로 소득 증가
  • 노동 투입 없이 자산만으로도 발생 가능한 소득(불로소득)

 

✔ 근로소득

  • 개인의 노동 시간 및 능력에 비례하여 발생하는 소득

  • 노동이 중단되면 소득이 끊기는 특징(활동소득)

 

정리하면 재산소득은 자산이나 자본을 통해 발생하는 소득으로 노동 없이도 얻을 수 있는 반면, 근로소득은 직접 노동을 제공해야만 얻을 수 있는 소득이다.

Categories

  • Finance (34)
  • NEWS (15)
  • 생활상식 (12)
  • 생활정보 (2)
  • 취미 (3)

Recent Posts

  • 재산소득 근로소득
  • 니세코 여행 항공편 예약하기
  • 홋카이도 원정 보딩 여행가기 – 소개
  • 상한 계란 구분하는 법
  • [주식] 주식안전장치

뒤로 가기

메시지가 발송되었음

경고
경고
경고입니다.

©2025 ▶ PLAY LIST | Built using WordPress and Responsive Blogily theme by Superb